
황태콩나물국에 두부를 넣으면 근육에 좋은 단백질의 양이 크게 늘어난다.콩나물에는 우리 조상들의 지혜가 숨어 있다. 옛날 겨울에 생채소-과일이 드물었던 시절 조상들은 콩나물을 길러 비타민 C를 섭취했다. 콩나물국-무침 등 다양한 요리로 할용했다. 콩으로 만들기 때문에 당연히 단백질이 많이 들어 있다. 콩나물국에 황태까지 넣으면 단백질의 양이 크게 늘어난다. 콩나물에 대해 다시 알아보자.
◆ 콩나물 속 단백질... 자연 감소하는 중년의 근육, 뼈 건강 살린다
콩이 '밭에서 나는 소고기'로 불린 이유는 육류에 많은 단백질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콩 전체에서 단백질 함량이 무려 40%나 된다. 콩으로 만든 콩나물도 당연히 단백질이 많다. 특히 '이소플라본(isoflavon)' 성분은 골밀도를 높여 뼈를 튼튼하게 해준다. 갱년기 여성의 골다공증 예방-치료에 효과가 있다. 40세가 넘으면 근육이 자연적으로 감소한다, 콩, 달걀, 육류 등을 먹고 운동을 해야 근력을 유지할 수 있다.
◆ 황태콩나물국 만들었더니... 1인분에 단백질 36.9g
콩나물에 황태를 넣어 국을 끓여보자. 1인분에 콩나물 500g, 황태채 150g 정도가 필요하다. 만드는 법도 쉽다. 양념으로 약간의 다진마늘, 대파 등을 준비한다. 먼저 콩나물에 물을 넣고 끓인다. 여기에 콩 비린 맛이 가시면 황태를 넣고 조금 더 끓인다. 국립농업과학원에 따르면 황태콩나물국 1인분은 황태와 콩나물이 시너지 효과를 내어 단백질이 36.9g이나 된다. 단순 비교는 어렵지만 닭가슴살 100g에 단백질이 23g 들어 있으니 꽤 많은 양이다. 두부까지 넣으면 단백질이 더 늘어난다.
◆ 짜게 만들지 않으면 혈압 조절, 칼슘 손실 방지... 혈관병 예방에 도움
콩나물의 단백질 속에는 펩타이드 성분이 있어 혈압이 높아질 경우 이를 저지하는 항고혈압 작용을 한다. 콩나물 음식을 짜지 않게 만들면 고혈압 조절에 좋아 결국 심장병, 뇌졸중 등 혈관질환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 몸속에서 칼슘의 손실을 막아주는 기능도 있다.
◆ 콩나물의 비타민 C, 겨울철 건강 지킴이
콩은 단백질 등이 많아도 비타민 C가 없다. 하지만 콩나물에는 있다. 콩으로 콩나물을 만들 때 발아 과정에서 비타민 C가 생합성된다. 옛날에는 집에서 콩나물을 길러 비타민 C를 섭취했다. 몸속에서 비타민 C가 부족하면 출혈, 피 멎지 않음, 입 마름, 빈혈 등이 나타나는 괴혈병이 생길 수 있다. 신선한 채소-과일이 거의 없던 시절 겨울철 비타민제 역할을 충분히 했다.
◆ 숙취에 좋은 콩나물... 다이어트에 도움되는 이유가?
콩나물은 큰 부피에 비해 칼로리가 낮다. 다른 요리에 콩나물을 넣으면 포만감이 상당해 과식으로 인한 열량 과다 섭취를 막을 수 있다. 짜지 않게 만드는 게 중요하다. 콩나물은 지나치게 가열하지 않고 조금 풋내가 날 정도로 데치면 맛과 영양가를 더 살릴 수 있다. 콩나물은 아스파라긴산과 식이섬유가 풍부해 숙취해소에 좋다. 황태두부-콩나물국을 먹으면 단백질 보충에도 큰 도움이 된다.
[뚱스 나 여기에..] - [뚱스의 살며 생각하며]‘콩’으로 버거를 만든다
[뚱스의 살며 생각하며]‘콩’으로 버거를 만든다
콩과식물 레그헤모글로빈 사용 쇠고기 색 패티로 버거 만들어 대체육서 육즙까지 흘러나오니 진짜 육류와 구분 어려울 정도 채식주의자들에 당연히 인기 생물 중에 신통방통한 것이 있으니, 바
sun30523.tistory.com
찬바람 쐬면 온몸이 가렵고 두드러기가 나는데…
한랭 두드러기, 심하면 전신 가려움·호흡곤란·의식 잃기도

기온이 뚝 떨어지면서 추위에 노출돼 일시적으로 온몸이 간지럽거나 두드러기가 발생하는 ‘한랭 두드러기’로 고생하는 사람이 크게 늘었다.
한랭 두드러기(Cold Urticaria·병명은 '유럽 쏘는 쐐기풀(Urtica dioica)'에서 유래)란 찬 공기나 찬물에 노출된 피부에 두드러기가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노출된 후 몸이 다시 더워질 때 많이 발생한다. 갑자기 추위에 노출되면 노출된 부위에 가려움증이 생기고 피부가 붉게 변하며 두드러기가 생긴다.
주로 손이나 얼굴에 많이 발생한다. 심하면 전신 가려움증 뿐만 아니라 호흡곤란이 동반되고, 온몸에 추위에 노출되면 사망할 위험도 있다.
한랭 두드러기는 대부분 후천적으로 발생하며, 증상에 따라 원발성·속발성·반사성 등 3가지로 나뉜다.
‘원발성 한랭 두드러기’는 주로 어린이와 젊은이에게 많이 나타난다. 피부에 차가운 자극을 주면 수분 내 국소적 두드러기가 생기면서 가려운 증상이 30~60분 정도 지속된다. 차가운 음료를 마신 뒤 입술이나 혀에 부종이 생기기도 한다.
특히 찬물에 온몸이 노출되면 저혈압ㆍ어지럼증ㆍ쇼크 등이 나타난다. 정진호 서울대병원 피부과 교수는 “한랭 두드러기 환자가 갑자기 찬물에 들어가면 전신 두드러기가 생길 수 있다”며 “이럴 때 저혈압이 발생할 수 있고, 일시적으로 의식을 잃기도 해 수영장 찬물에 들어가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고 했다.
‘속발성 한랭 두드러기’는 두드러기가 24시간 지속되고 피부가 붉거나 보라색으로 변하는 특성이 있다.
'반사성 한랭 두드러기'는 차가운 외부 자극에 노출됐을 때 피부 국소 부위에 두드러기가 생기지는 않지만 온몸에 노출됐을 때 광범위한 두드러기가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한랭 두드러기는 얼음을 팔뚝에 올려 놓는 자가 진단으로 알아낼 수 있다. 정진호 교수는 “한랭 두드러기가 의심되면 얼음을 환자 팔뚝에 3~4분 정도 올려놓은 후 얼음을 다시 제거한 후 해당 부위에 두드러기가 생기는지 확인해 확진한다”고 했다.
한랭 두드러기는 명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아 근본적인 치료법이 없다. 찬물을 사용하거나 찬바람을 쐬는 것을 피하는 등 피부가 추위에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 피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또 한랭 두드러기가 나타나는 부위의 보온에 신경을 쓰고 따뜻한 물이나 차를 마시는 것이 좋다. 외출할 때는 얇은 옷을 겹쳐 입어 기온 변화에 대응하고 실내 온도는 18~20도를 유지하고 습도는 40% 이상 유지해야 한다.
증상이 나타나면 지르텍 같은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해 증상을 예방하거나 완화해야 한다.
김수영 순천향대 서울병원 피부과 교수는 “항히스타민제는 장기간 복용해도 크게 부작용이 없고 내성이 생기는 약이 아니며 간이나 콩팥 기능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아 오래 복용해도 안전하지만 졸림ㆍ피곤함ㆍ입마름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고 했다.
추운 날씨에는 샌들이나 슬리퍼를 되도록 신지 말고 장갑 등을 착용해야 한다. 샤워는 하루에 한 번 따뜻한 물로 5~10분 정도 하는 게 좋다.
'뚱스 나 여기에.. > 오늘먹었던 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걀은 삶으면 왜 색이 변할까?… 투명에서 갈색까지 [뚱스의주방] (0) | 2023.02.06 |
---|---|
한국인의 주식이 고기로 바뀌었다…“밥심으로 산다”는 옛말 (0) | 2023.02.06 |
“한국 빵집만 이랬던거야?”…미국인 사로잡은 매장 비결은 (1) | 2023.01.31 |
댓글